단순대왕 2014. 2. 21. 15:37

1. 사용자 분류

기획자의 기본자세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이트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

기획의 어려움은 무엇을 왜 만들 것인가?’ ‘누구를 위해 어떤 것을 기획할 것인가?’를 중점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시각과 마인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타겟층의 정의

웹 사이트의 타겟은 기본 신상 명세(데모그라피, demography)에서 출발하여 행동 패턴이나

특징까지 복합적으로 정의하여 구분한다.

유저 세그멘테이션은 비슷한 성격을 가진 타겟 집단을 구분하는 것이다.

유저 세그멘테이션은 사이트의 레이아웃이나 사용하는 언어의 톤, 레이블링, 텍스트 사이즈, 색상,

콘텐츠 등 사이트의 전반적인 성격이나 방향을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이다

타겟 유저로 정의한 핵심 유저층이 다른 유저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 타겟 사용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기획된 웹 사이트

) http://www.naver.com / http://jr.naver.com

 

- 타겟 사용자의 성별을 고려하여 기획한 웹 사이트

) http://www.cathycat.com

 

- 타겟 사용자의 예상 사용 시간을 고려하여 기획된 웹 사이트

방문자가 오랜 시간 동안 즐기러 오는 사람이라면 다양한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첨가하여 웹

사이트를 재미있게 구현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지 정보를 얻기 위해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라면 사이트가 로딩되는 속도를 감안하여 그래픽적 요소를 제거한 텍스트 위주로 정보

설계를 해야 한다.

) 포털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2. User 시나리오

- User 프로파일은 사이트의 기능이나 서비스,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디자인 등에 관한 결정을

도와주는 User의 표본. 이 표본 User의 요구와 행동 패턴을 이해함으로써 그 표본이 대표하는

User층 전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 User들이 웹에서 행동하는 행동 패턴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User 시나리오

- User 프로파일이 Target User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면,

User 시나리오는 구축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가 갖추어야 하는 콘텐츠와 기능을 도출해내기

위해서 작성.

- User가 사이트의 특정 기능이나 웹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등을 통해 User를 이해하고 콘텐츠와 기능을 구체화하는 작업

 

3. 웹 사이트 평가 (http://www.hanb.co.kr/exam/1891 - 웹 사이트 평가 체크 리스트)

- 전반적인 느낌

- 메인 페이지

- 웹 사이트의 목적 설정

- 사용자 분석

- 콘텐츠

- 네비게이션 시스템

- 레이블

- 페이지 구성

- 검색 시스템, 통계 BBS

- 그래픽

- 운영 및 관리

- 마케팅

 

4. 벤치마킹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토대로 다른 것의 일류 요소를 접목시켜 새로운 구성을 만들어내는 것

사이트의 목적을 파악하면 그와 비슷한 성향의 사이트를 벤치마킹 한다.

벤치마킹이란 남의 것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것을 보고 내 것을 새롭게 창조

해내는 작업

현재의 웹 사이트에서 문제점을 발견했다면, 동일한 문제를 잘 해결한 사이트를 벤치마킹 한다.

 

- 벤치마킹의 요건

평가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철저하게 외부적인 관점에서 진행해야 한다.

- 사이트의 기본 분석

- 메인 페이지 분석

logo, search, channel(navigation), commerce, directory, contents area, advertizing, copyright

 

벤치마킹의 첫 번째는 사이트 분석이다. 어떠한 종류의 사이트라도 철저하게 분석해야만 다음

작업이 가능하다. 벤치마킹이 사이트 분석과 다른 점은 사이트를 분석하기 전에 목적에 맞는

벤치마킹 대상 사이트를 선정하고 비교 항목 및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동종 웹 사이트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서비스를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도출해낸 뒤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해내는 작업이 벤치마킹이다.